-
서울 아파트값 상승 추세와 연차별 차이 3년 전과의 비교해보기경제학 2024. 7. 20. 15:01반응형
서울 아파트값 상승 추세와 연차별 차이 3년 전과의 비교해보기
최근 서울 아파트값이 연일 상승하며 3년 전 집값 급등기를 떠올리게 하는 상황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아파트의 연차에 따라 집값 상승률에 차이가 크다는 점이 주목됩니다.
3년 전에는 20년 된 아파트가 집값 상승을 주도했지만, 최근에는 지은 지 5년 이내인 새 아파트가 상승을 이끌고 있습니다.
서울 아파트 가격 동향
19일 한국부동산원의 7월 셋째 주(15일 기준)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값은 전주 대비 0.28% 상승하며 16주 연속 상승세를 기록했습니다.
이번 주 상승 폭은 2018년 9월 둘째 주(0.45%) 이후 5년 10개월 만에 가장 큰 폭을 기록했습니다. 특히, 지은 지 5년 이내의 새 아파트가 집값 상승을 주도하고 있습니다.
연차별 아파트 매매지수
한국부동산원의 서울 아파트 연령별 매매지수를 살펴보면, 올 들어 7월 셋째 주까지 준공 5년 이내 아파트 가격은 2.7% 상승했습니다.
준공 5년 초과 10년 이하 아파트도 2.2% 올랐지만, 지은 지 20년이 넘은 아파트는 같은 기간 동안 0.7% 상승에 그쳤습니다.
이는 준공 5년 이내 아파트의 가격 상승률이 준공 20년 넘은 아파트의 4배에 육박하는 수준입니다.
실제 사례
서대문구 홍제역 근처의 사례를 보면, 지은 지 3년 된 홍제역해링턴플레이스 아파트는 전용면적 84㎡가 지난해 초 12억4,000만 원에 거래됐지만, 올해 들어 1억 원 넘게 오른 13억7,000만 원에 손바뀜되며 최고가를 두 번이나 경신했습니다.
반면, 길 건너편의 지은 지 28년 된 현대그린 아파트의 같은 평수는 지난해 6억8,000만 원에서 올해 6억4,000만 원으로 오히려 하락했습니다.
과거와 다른 최근의 양상
3년 전 서울의 준공 20년 초과 아파트는 연간 8.1% 상승하며 가장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습니다.
반면, 같은 기간 준공 5년 이하 신축 아파트의 상승률은 5.23%, 준공 5년 초과 10년 이하 준신축 아파트는 4.87%에 그쳤습니다.
재건축 아파트 인기 하락 원인
최근 재건축 아파트의 인기가 시들해진 점도 한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과거에는 재건축 아파트가 사업 단계별로 집값이 뛰며 큰 수익을 안겨주었지만, 최근에는 공사비 급등으로 조합원 분담금이 늘면서 지연되는 사업장이 많아졌습니다.
이에 따라 2030 세대 사이에서는 오래된 집에서 살 필요가 없다는 인식이 확산되고 있습니다.
또한, 새 아파트 분양가 상승으로 분양 메리트가 줄어든 점도 영향을 미쳤습니다.
정부의 주택 공급 정책
정부는 신속한 주택 공급을 통해 집값 안정화를 이루려 재건축·재개발 활성화를 강조하고 있지만, 속도가 더딘 상황입니다. 금리 인하 기대감까지 겹치며 집값 상승에 대한 기대 심리가 확산되고 있어, 당분간 신축 아파트 가격 강세 현상이 지속될 것으로 보입니다.
커뮤니티 시설과 아파트 단지 가치
최근 분양 시장에서는 커뮤니티 시설이 단지의 가치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입주민들에게 편의와 문화, 여가 생활을 제공하는 커뮤니티 시설은 점차 복합공간화되면서 단지의 가치가 나뉘고 있습니다.
사례: 헬리오시티와 메이플자이
서울 송파구 가락동 일원의 '헬리오시티'는 단지 안에 게스트하우스가 조성되어 있어 유명합니다.
게스트하우스 이용객들을 위한 출입구가 따로 마련되어 있으며, 방 크기별로 가격이 다릅니다.
이외에도 메이플자이는 높은 청약 경쟁률을 기록하며 커뮤니티 시설의 중요성을 증명했습니다.
대전 도안신도시 힐스테이트 도안리버파크
대전 도안신도시에 서울 강남 수준의 우수한 커뮤니티 시설을 적용한 단지가 들어설 예정입니다.
현대건설이 분양하는 힐스테이트 도안리버파크는 입주민들의 생활 편의를 최대한 고려한 다양한 시설을 갖출 예정입니다.
골프연습장, 피트니스, 독서실, H아이숲, H 위드펫, 사우나, 세탁실, 게스트하우스 등 다양한 시설이 마련됩니다.
1단지에는 수영장이, 2단지에는 프라이빗 영화관이 조성되어 문화생활을 단지 내에서도 즐길 수 있습니다.
각 단지 별로 중복 청약이 가능하며, 청약 일정 및 계약 조건은 공식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서울 아파트값 상승과 커뮤니티 시설의 중요성은 부동산 시장에서 큰 이슈입니다.
정부의 정책과 시장의 변화, 그리고 각 아파트 단지의 특성을 고려한 투자 전략이 필요합니다.
서울 아파트값 상승이 앞으로 어떤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될까 생각해보겠습니다.
서울 아파트값 상승은 다양한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주택 구매 부담 증가:
집값이 오르면 첫 주택 구매자나 기존 주택을 업그레이드하려는 사람들의 경제적 부담이 커집니다.
특히 젊은 세대나 소득이 낮은 가구는 주택 마련이 어려워질 수 있습니다.
임대료 상승:
집값 상승은 전세 및 월세 시장에도 영향을 미쳐 임대료가 오를 가능성이 큽니다.
이는 임차인들의 주거 비용 부담을 증가시킵니다.
재건축 및 재개발 촉진:
오래된 아파트의 가치 상승이 둔화되면 재건축 및 재개발을 통해 가치를 높이려는 움직임이 활발해질 수 있습니다.
이는 지역 개발과 인프라 개선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투자 수요 증가:
집값 상승이 지속되면 부동산 투자가 매력적으로 보일 수 있습니다.
이는 투자 수요를 자극하여 집값 상승을 더욱 부추길 수 있습니다.
정부 정책 변화:
집값 상승이 계속되면 정부는 추가적인 규제나 공급 확대 정책을 도입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이는 시장에 변화를 가져올 수 있습니다.
커뮤니티 시설이 아파트 단지의 가치에 미치는 영향은 무엇이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커뮤니티 시설은 아파트 단지의 가치를 높이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편의성 향상:
입주민들에게 다양한 편의시설을 제공하여 생활의 편리함을 높입니다.
예를 들어, 피트니스 센터, 수영장, 독서실, 게스트하우스 등의 시설이 포함될 수 있습니다.
커뮤니티 형성:
다양한 시설은 입주민들 간의 교류와 소통을 촉진하여 단지 내 커뮤니티 형성을 돕습니다.
이는 주민들의 만족도를 높이고 이웃 간의 유대감을 강화합니다.
부동산 가치 상승:
고급화된 커뮤니티 시설은 아파트 단지의 브랜드 이미지를 개선하고, 부동산 가치를 높이는 데 기여합니다.
이는 재판매 시 높은 가격을 기대할 수 있게 합니다.
주거 환경 개선:
쾌적하고 다양한 여가 및 문화시설은 주거 환경을 개선하여 입주민의 삶의 질을 높입니다.
이는 장기적인 거주 만족도를 높이는 요인입니다.
경쟁력 강화:
다른 단지와의 차별화를 통해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습니다.
특히 신규 분양 시 커뮤니티 시설의 수준이 높은 단지는 높은 청약 경쟁률을 기록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정부의 재건축·재개발 활성화 정책이 실제로 얼마나 효과적인지 알아보겠습니다.
정부의 재건축·재개발 활성화 정책은 효과를 발휘할 수 있지만, 여러 요인에 따라 그 효과가 달라질 수 있습니다.
정책 실행 속도:
정책이 실제로 얼마나 빠르고 효율적으로 실행되는지가 중요합니다.
정책이 느리게 진행되면 시장의 변화를 체감하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재건축 규제 완화:
재건축·재개발 관련 규제 완화가 중요합니다.
규제가 완화되면 사업 추진이 용이해져 더 많은 재건축·재개발 프로젝트가 진행될 수 있습니다.
공사비 및 조합원 분담금:
최근 공사비 상승으로 조합원 분담금이 늘어나는 문제가 있습니다.
이를 어떻게 해결할지가 정책의 효과를 좌우할 것입니다.
주택 공급 확대:
재건축·재개발이 활발해지면 주택 공급이 늘어나 집값 안정화에 기여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 과정에서 기존 주민의 이주 문제 등을 고려해야 합니다.
금리 및 경제 상황:
금리 인하 기대감이나 경제 상황도 중요한 변수입니다.
저금리 환경에서는 부동산 투자가 매력적이어서 집값 상승 압력을 받을 수 있습니다.
정부의 재건축·재개발 활성화 정책은 이러한 요인들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실행되어야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경제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전 힐스테이트 도안리버파크, 청약 열풍의 이유와 전망 (3) 2024.07.24 대전 분양시장 최대 화두, "힐스테이트 도안리버파크" 분양 시작하다. (16) 2024.07.23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 17주 연속 상승으로 과열되는 부동산 시장, 과연 우리나라 정부의 대책은? (0) 2024.07.18 지하철 역명이 들어간 아파트 청약 경쟁률 3배 증가 이유와 현황 분석 (0) 2024.07.17 2024년 6월 2분기 우리나라 주택 입주율 및 전세 보증사고 현황 분석 (0) 2024.07.16